정보보호 스터디

[공개 키 암호] 공개 키 암호

녕녕펀치 2024. 3. 5. 21:30

1. 공개 키 암호

  •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분리되어 있음
  • 송신자는 암호화 키를 써서 메시지를 암호화, 수신자는 복호화 키를 써서 암호문을 복호화함
  • 송신자가 필요한 것 = 암호화 키
  • 수신자가 필요한 것 = 복호화 키
  • 도청자에게 알려지면 곤란한 것 = 복호화 키 (암호화 키는 알려져도 됨)
  • -> 복호화 키를 배송할 필요 X
  • 암호화 키 = 공개 키
  • 복호화 키 = 개인 키
  • 공개 키와 개인 키는 둘이 한 쌍이 됨 -> 키 쌍 (공개 키와 개인 키를 각각 별개로 만들 수 없음)

 


2. 공개 키를 사용한 통신 흐름

3. 여러 가지 용어

  • 공개 키 암호 ≒ 비대칭 암호
  • 개인 키 ≒ 프라이빗 키, 사적인 키, 비공개 키, 비밀 키 (주의!! 비밀 키라는 용어는 대칭 암호의 키라는 의미로 사용됨 → 공유 비밀 키(대칭 암호), 사유 비밀 키(공개 키 암호))

4. 공개 키 암호로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

  • 공개 키의 인증 (입수한 공개 키가 정말로 바른 공개 키인지 어떤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음)
  • 대칭 암호에 비해 처리 속도가 몇 백 배나 느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