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보호 스터디
[암호] 암호?
녕녕펀치
2024. 2. 16. 12:35
1. 암호에서 사용하는 이름
- 앨리스와 밥 (Alice and Bob)
- 앨리스 : 메시지 전송
- 밥 : 메시지 수신
- 이브 (Eve)
- 앨리스와 밥 사이에 이루어지는 통신 도청
- 메시지 수정은 불가
- (양자 암호에서는 통신 환경을 나타내기도 함)
- 맬로리 (Mallory)
- 메시지 수정 가능
- 자신의 메시지로 대체하여 이전의 메시지를 재전송 가능
- 이브 공격 < 맬로리 공격 (막기 더 어려움)
- Marvin이나 Mallet이라는 이름이 사용되기도 함
- 트렌트 (Trent)
- 중립적인 위치. 제 3자
-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짐
- 빅터 (Victor)
- 의도된 거래나 통신이 실제로 발생했다는 것을 검증할 때 등장
- Pat or Peggy
2. 송신자 / 수신자 / 도청자
- 송신자
- 정보를 보내는 사람
- 수신자
- 정보를 받는 사람
- 메시지
- 송신된 정보
- 도청자
- 이브는 메시지 도청은 가능하지만 수정하지는 못함 (도청자 이브는 사람뿐만 아니라 통신 기기에 장치된 도청 기계일 수도 있고, 메일 소프트웨어나 메일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일 수도 있음)
- 맬로리(적극적인 공격자)가 전송 중인 메시지를 갈취한 다음 내용 수정해서 수신자에게 보낼 수 있음
3. 암호화와 복호화
- 암호화
- 평문(plaintext) : 암호화하기 전의 메시지
- 암호문(ciphertext) : 앨리스가 다른 사람이 읽지 못하도록 암호화를 한 메시지
- 복호화
- 복호화 : 암호문을 원래의 평문으로 바꾸는 과정 (복호라고도 함)
- 밥은 암호문을 복호화(decrypt)해야 읽을 수 있다
- 암호 기밀성
- 앨리스와 밥은 암호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메일의 기밀성(비밀성)을 유지함
- 해독
- 정당한 수신자가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것은 '복호화'이지만, 수신자 이외의 사람이 암호문으로부터 평문을 복원하려고 시도하는 행위를 '암호 해독' 혹은 '암호 해석'이라고 부름